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, 아자 정치부 조아라 기자 나왔습니다. <br> <br>Q1. 광복절 경축사가 기존에 보기 힘든 파격이라는 평가가 나왔죠? <br><br>광복절이 일본으로부터 독립한 날이잖아요. <br> <br>그래서 광복절 경축사는 일본 과거사 문제에 대한 언급 수위가 늘 관심인데요.<br><br>오늘은 아예 과거사 언급이 없었습니다. <br> <br>광복절 경축사의 단골 손님인 새로운 대북 제안도 없었죠. <br><br>오늘 눈에 띄는 건 자유민주주의 가치 연대를 앞세워 유엔사의 역할을 강조한 건데요. <br><br>일본의 유엔사령부 후방기지 역할도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Q2. 저희가 대통령이 유엔사 참가국을 확대 추진한다는 거 단독 보도해드렸는데요. 한국 전쟁 끝난 지가 지금 70년이 지났는데 <br>무슨 의미가 있나요? <br><br>6.25 전쟁은 한국 혼자 치른게 아니라 22개국, 유엔군 참전 용사들과 함께 치른 전쟁이죠. <br><br>현재도 유엔사가 한국에 주둔하고 있죠.<br><br>한국에 전쟁이 나면 다시 이 유엔군이 뭉칠 수 있도록 돼 있습니다.<br><br>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 체결일에 맞춰 당시 전투 지원국인 16개국 대표가 발표한 워싱턴 선언에 따른 건데요.<br> <br>그런데 이 자동 참전국에 의료지원단을 파견했던 국가들까지 포함시켜 유사시 자동참전국을 더 늘리겠다는 겁니다. <br><br>덴마크는 이미 병력을 파견하고 있고요, 현재 병력을 파견하지 않거나 훈련에 참여하지 않는 나머지 5개국과도 유엔사 참여를 논의하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커지는 상황에서 자동 참전하는 국가를 늘리면 함부로 도발할 수 없을 거라는 판단에 따른 겁니다. <br> <br>또 유사시 미국에만 의존하지 않고 유엔 국제연대로 맞설 수 있는 보장장치를 마련하게 된다는 생각도 하고 있습니다.<br><br>Q3. 문재인 정권에서는 미국이 확대하려고 해도 유엔사 확대에 반대했다면서요? <br><br>네 그렇습니다. <br><br>덴마크가 병력을 파견하겠다고 했지만 거부했고요. <br><br>미국이 독일도 유엔사에 가입시키려 했지만 문재인 정부는 한국과 사전 협의가 없었다며 거부한 바 있습니다. <br><br>북한과의 관계 개선을 꾀하며 종전선언을 추진하던 문재인 정부로서 유엔사 확대를 받아들이기 어려웠겠죠.<br><br>북한은 일관되게 유엔사 해체를 주장하고 있는데요. <br><br>[김인철 / 당시 유엔주재 북한대표부 서기관 (2018년 10월)] <br>"한국에 있는 유엔사는 긴장완화와 평화를 향해 가는 한반도의 발전에 맞게 가능한 한 빨리 해체돼야 합니다…유엔사는 괴물 같은 조직입니다" <br> <br>사실상 미군이 지휘하는 유엔사 해체를 통해 주한미군 철수 주장의 명분을 쌓기 위한 것이란 분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Q4. 문 정권이 반대했던 이유 중 하나가 일본 때문이라면서요? <br><br>네 그렇습니다. <br> <br>문재인 정부의 한 주요 인사는 채널A에 "유엔사 참여국을 확대할 경우 일본이 한반도 문제에 개입하려고 할 수 있다"며 반대 이유를 밝혔는데요.<br> <br>일본 후방기지 7곳은 유사시 전력 제공국의 병력, 장비가 들어오는 통로로 활용되기 때문에, 일본이 한반도 문제에 개입할 여지가 생긴 다는 겁니다.<br> <br>대통령실에 관련해서 물어봤는데요. <br> <br>일본 자위대가 전쟁을 수행할 수 없는 데다, 일본이 6.25 참전국이 아니었던 만큼 유엔사에 참여할 가능성은 낮다는 설명입니다. <br> <br>Q5. 뭐 윤석열 대통령은 아예 오늘 대놓고 일본의 유엔사 후방기지를 높이 평가했어요? <br><br>윤 대통령은 한미일, 북중러의 대립이 뚜렷해지는 신냉전 시대 기류 속에서, 자유민주주의 국가들과의 연대가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전 정권이 불편한 눈으로 바라봤던 일본의 유엔사 후방기지도 오히려 적극 활용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거죠. <br> <br>이틀 뒤 한미일 정상회의에서 이런 기조는 더 강해질 전망인데요. <br><br>다만 민주당과 문재인 정부 인사들이 반대하고 있어 유엔사 확대와 일본의 역할 확대는 향후 충돌이 예상됩니다. <br><br>지금까지 아는 기자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조아라 기자 likeit@ichannela.com